액취증(겨드랑이 냄새) 치료에 좋은 식품 4 가지 알아보기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건강에 도움되는 음식 알아보기

액취증(겨드랑이 냄새) 치료에 좋은 식품 4 가지 알아보기

by 영동신사 2025. 3. 17.
반응형

사람의 몸은 독특한 냄새를 가지고 있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에게 특히 냄새가 많이 나는 부위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겨드랑이 냄새입니다. 겨드랑이에서 나는 냄새를 액취증이라고 하며 흔히 암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액취증은 겨드랑이 아래의 땀샘에서 자극적인 냄새가 나는 증세입니다. 아래에서는 전문가들의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겨드랑이 냄새(액취증)의 원인과 증세, 치료에 좋은 건강음식 또는 건강식품 4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겨드랑이 냄새(액취증)의 원인과 증세 

 

 

일부 사람들은 겨드랑이 냄새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지장을 받을만큼 심한 상태를 겪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액취증, 취한증, 암내 등으로 부릅니다. 액취증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불쾌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액취증은 겨드랑이 부위의 땀샘에 이상이 생겨 특이한 냄새를 진하게 풍겨서 불쾌감을 주기도 합니다. 또한 땀샘 내부에서 땀이 분비될 때, 피부의 약한 각질층이 세균에 감염되어서 냄새가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액취증의 원인은 대부분 유전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비만, 스트레스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액취증 치료법으로 양방에서는 주로 수술치료와 약물치료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액취증을 없애거나 냄새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한방 치료법도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양방과 한방 치료법을 적절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액취증(겨드랑이 냄새) 치료에 효과적인 건강식품 4가지

 

 

 

첫째, 생강 달인 물이 잡균의 번식을 막는데 특히 효과적입니다.


요리를 할 때 생강을 양념으로 쓰기도 하는데, 우리는 고기나 생선을 요리할 때 냄새를 없애기 위해 생강을 사용합니다. 생강에는 뛰어난 살균력을 가진 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요리 과정에서 냄새를 잡아주는 것처럼 생강은 몸에서 나는 냄새도 막아 줍니다. 이러한 생강의 살균력을 활용하면 겨드랑이 냄새를 일으키는 피부의 잡균 번식을 막을 수 있습니다. 

 

활용법을 간략히 소개하면, 우선 껍질을 벗긴 후 얇게 썬 생강 50g과 물 10컵을 냄비에 붓습니다. 약한 불에 물이 1/2로 줄어들 때까지 달여 줍니다. 달인 생강물을 밀폐용기에 넣어서 변질되지 않도록 냉장고에 보관합니다. 이 생강물을 데워서 수건에 적신 후 겨드랑이 밑에 대고 5 ~6 시간마다 갈아주면 됩니다.

 

둘째, 태운 매실가루는 해독 및 살균 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매실의 성분은 설사를 멎게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해독작용과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매실의 이러한 해독작용과 살균작용을 활용하면 겨드랑이 냄새를 없애는데 효과적입니다.

 

매실을 겨드랑이 냄새를 없애는데 활용할 때에는 매실을 까맣게 태워서 겨드랑이 아래를 맛사지 해 주면 됩니다.

 

셋째, 겨드랑이 냄새를 없애는 방법으로서 호도연고를 해당 부위에 바르면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호도는 식용 뿐만 아니라 외용약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호도를 꾸준히 먹을 경우 신장의 기능이 활발해져서 피부가 아름답게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호도를 곱게 갈면 기름이 나오면서 연고 상태가 되는데, 이 호도 연고를 겨드랑이 아래에 붙이고 골고루 맛사지를 해주면 겨드랑이 냄새가 없어 집니다. 호도 연고를 겨드랑이 밑에 붙일 때, 붙이기 전에 반드시 겨드랑이 아래를 깨끗이 씻어주어야 합니다. 

 

 

 

 

넷째, 현미식초를 활용하면 강한 살균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현미식초는 살균력이 강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겨드랑이 냄새의 원인이 되는 피부의 잡균을 죽게 하는데 현미 식초가 효과적입니다. 또한 현미식초는 땀샘을 수축시키는 작용도 하기 때문에 땀 자체의 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여 액취증(겨드랑이 냄새)을 예방하는데 특히 좋습니다. 

 

현미식초를 탈지면이나 거즈에 적신 후에 땀을 잘 닦고 겨드랑이 아래에 붙여 줍니다. 이렇게 하면 4 ~5 시간 정도는 심한 냄새를 막을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말린 차조기잎을 이용한 입욕도 효과적입니다. 100~150g의 차조기잎을 욕조에 넣고 10~15분 정도 입욕을 하면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귤껍질 20g에 물 1컵을 붓고 중불에 달여서 하루 2회 정도 마셔도 겨드랑이 냄새를 감소시키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겨드랑이 냄새로 고생하시는 모든 분들의 쾌유를 기원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