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들의 3.1운동을 매일신보를 통해서 보다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근현대사 주요 이슈

기독교인들의 3.1운동을 매일신보를 통해서 보다

by 영동신사 2024. 3. 11.
반응형

3.1운동은 우리 민족의 독립운동 사상에서 획을 긋는 중대한 사건이었으며 여전히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지금도 운동의 발발 배경, 전개 과정, 참여 계층의 특징과 성격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천도교, 기독교, 불교, 유교 등 각 종파의 활동, 만주, 러시아에서의 3.1운동을 비롯하여 3.1운동에 대한 해외 각 나라의 반응과 국제적 영향에 이르기까지 방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런데도 조선총독부 기관지로서 방대한 3.1 운동 관련 기사를 보도했던 매일신보의 기사 내용은 다루어지지 않았다. 3.1운동이 발발하자 매일신보에서는 37일 이후 424일까지 각지 소요사건, 소요 사건의 후보, 소요사건 등의 제목으로 3.1운동 관련 지역별 소식을 보도하였으며, 사설이나 일반 보도기사를 통해 3.1운동에 대한 상황 보도와 조선총독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내용의 기사를 수시로 게재하였다매일신보는 합병 이전부터 한국의 언론을 장악하기 위해 다양한 압박 수단을 찾고 있던 일제가 190951일 베 델이 사망한 이후 대한매일신보를 인수하여 1910830일부터 매일신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발행하기 시작한 국한문 신문이었다. 매일신보의 경영은 일본 언론계 유력인사의 감독 아래에 이루어졌다, 그는 1910101일 사이토 조선 총독과 교환한 문서에서 매일신보가 조선 총독과 조선총독부를 본위로 그 정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을 약속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매일신보의 직원들에게 행한 연설에서는 일본 천황의 일시 동인을 한국에 선전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매일신보는 조선총독부의 기관지 성격을 갖는 신문이었다. 따라서 매일신보에 보도된 3.1운동 관련 기사는 전체적으로 3.1운동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인식과 대응 양상을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매일신보에는 1910년 이래로 조선총독부가 기독교에 대해 취했던 정치적 태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서 1910년대 기독교계에 대한 조선총독부의 정책에 대해 보다 분명한 이해가 가능하다. 매일신보에는 3.1운동이 격화·확산하는 것을 차단하고자 했던 조선총독부의 의지가 반영되었던 다양한 내용이 보도되었다. 1910년 한국을 강점한 일제는 종교정책과 교육정책을 통해서 기독교를 탄압하는 한편 기독교가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서구의 종교라는 점을 감안하여 경우에 따라서는 적극적인 친일화 정책을 추진하였다. 한국 강점 초기에 일제는 매일신보를 통해 종교계에 대하여 강력한 통제 방침을 천명하였다. 일제는 191586일에 총독부령으로 포교 규칙을 제정하였다. 기독교도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총독부의 탄압과 감시의 대상이 되었다. 일제는 합병 이후 기독교에 대해서 통감부 시절에 유지하고 있던 온건 정책을 변경하여 강압적 강경정책으로 정책적 변화를 꾀하였다. 물론 여전히 친일적 선교사들에 대해서는 온건적인 태도를 유지하였으나 포교 규칙의 발표나 기독교계 사립학교에 대한 탄압, 매일신보 사설에 나타난 기독교에 대한 비판 등으로 볼 때 일제의 강경정책으로의 전환은 분명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기독교와 조선총독부의 긴장 관계는 기독교 자체가 갖고 있던 애국적 경향과 함께 3.1운동 당시 기독교인들이 3.1운동에 적극적으로 가담하게 되는 배경이 되었다. 3.1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기독교 세력의 활동은 매일신보의 기사 내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선교사들의 활동은 그들이 서구의 외국인으로서 3.1운동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측면이 강했다는 점에서 일제에 적지 않게 부담이 되었고 양측의 마찰은 일제가 매일신보를 통해 선교사들을 극단적으로 비난하고 있는 점에서도 알 수 있다. 매일신보의 기사를 통해서 보면, 선교사를 포함한 기독교인들이 추진한 3.1운동의 구체적 활동을 복원할 수 없으나 적어도 기독교인들의 활동이 일제에 충격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던 점은 확인할 수 있다. 기독교인들의 3.1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자 일제는 선교사들에게 3.1운동의 열기를 차단하기 위한 활동에 나서 줄 것을 종용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실패한 후에는 3.1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선교사와 한국인 목사들에 대해 극단적으로 비난하거나 평양에서 활동하던 모의리 선교사를 투옥하는 등 구체적인 탄압책을 강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일제는 선교사들이 기독교인들에게 3.1운동의 정당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과 3.1운동에 대한 일제의 극단적 탄압이 선교사들을 통해 외국 언론에 알려지는 것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일제는 3.1운동에 참여했던 민중들의 열기를 차단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강구하였다. 우선 논리적으로 조선인들이 민족자결주의에 대해 오해하여 시위가 촉발되고 확산하였다는 점을 크게 강조하고 있는데, 이것은 3.1운동의 본질이 일차적으로 식민지정책의 폭압성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은폐하고자 했던 일제의 의도를 반영하는 측면이었다. 또한 일제는 각종 권고문과 경고문을 매일신보에 게재하여 민중들을 안정시키고자 했으며 고종 황제의 독살설 유포를 차단하는 한편, 일본으로부터 군대 파견과 정치범 처벌법의 제정 및 시위 상황에 대한 보도 내용은 구체적인 지명과 인명이 이후의 기사에서도 확인되지 않기 때문에 그 내용의 신빙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일신보는 10년 동안의 일제 학정과 식민지적 억압구조를 은폐하면서 독립을 향한 기독교인들과 민중의 열기를 차단하고자 했던 관제 언론이었음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매일신보에 다양한 형태로 기독교계 인사들의 3.1운동 참여 기사들이 게재되고 있는 사실은 기독교인들의 3.1운동이 그만큼 치열했다는 간접증거로 볼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