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한국사1 현대 한국사 연구 동향 지난 50년간 한국 사학은 이념사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그것은 식민주의 사학의 극복을 목표로 하였기 때문에 민족주의 사학일 수밖에 없었다. 식민주의 사학이 역사와 한국 역사 자체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하지 않았던 것과 마찬가지로 반식민주의 사학으로서의 현대 민족주의 사학 역시 그러기는 마찬가지였다. 더욱이 현대 민족주의 사학은 해방 이후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국가적 민족주의에 포섭되면서 탈역사화되기도 하였다. 물론 현대 민족주의 사학은 반식민주의 사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새로운 한국 사상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980년대에 대두한 민중 사학은 우리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1990년대에 이르러 역사학계에는 새로운 변화 양상들이 나타났다. 그동안 한국사와 한국 사학은 역사학.. 2024. 3. 2. 이전 1 다음